반응형


제 2차 로도스 공방전은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이 납니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 슐레이만 1세는 로도스섬을 점령하면서 지중해로 뻗어나갈 수 있는


해양 거점을 마련하는 중요한 업적을 달성하게 됩니다.


1522년 자신들의 본거지인 로도스섬을 오스만 제국에게 빼앗긴 로도스 기사단은,


1523년부터 1530년까지 유럽 여러 지역을 떠도는 떠돌이 신세로 전락합니다.


▶ 로도스 공방전 확인하기

▶ 카르타고 확인하기

 


기사단의 몰타 정착



1530년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 황제는 기사단에게 몰타 영지를 수여합니다.


몰타는 이탈리아의 남부 시칠리아 남쪽에 자리한 섬이었습니다.


몰타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척박한 환경의 땅을 가지고 있었으며,


카를 5세 황제는 스페인 왕국의 국왕이기도 하였는데 기사단을 몰타에 정착하게 한 데에는 다른 의도가 있었습니다.



몰타는 위치상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지중해의 가운데 자리하고 있어


무역의 거점인 동시에 유럽과 소아시아 아프리카를 잇는 주요 길목이었습니다.


기사단은 몰타섬을 수여 받는 조건으로 매년 매 1마리를 시칠리아 부왕에게 바치고,


북아프리카 연안에 위치한 스페인령을 방어해야 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상황



출처 : wikipedia



당시 북아프리카는 오스만 제국의 슐레이만 1세의 영향하에 있었습니다.


팽창을 거듭하던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와 알제리까지 진출하며 아프리카에서의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었습니다.  



몰타섬은 동지중해에서 서지중해로 넘어오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주요 무역 거점인 시칠리아, 밀라노, 나폴리로 가기 위한 거점지였습니다.


옛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 영토를 점령한 오스만 제국은 지중해로 나가기 위해 몰타를 수중에 넣어야 했습니다.


육지와 바다에서 신성로마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전쟁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당시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있었는데, 당시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는 카를 5세에게 밀려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습니다.


유럽은 구교와 신교의 대립으로 종교 개혁까지 일어나며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지속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슐레이만 1세로 하여금 세계 군주의 꿈을 꾸게 합니다.



몰타 공방전



출처 : wikipedia



복잡한 상황속에 몰타는 유럽에게는 오스만 제국의 지중해 진출을 막아야 하는 최전선의 방어선이 됩니다.


로도스섬에서의 패배를 다시 겪지 않기 위해 몰타 기사단은 철옹성의 요새를 다시금 구축합니다.


로도스 공방전 당시 전투에 참여 했던 라발렛이 몰타 기사단의 단장이 됩니다.


오스만 제국은 기병 6천, 예니체리 7천을 포함한 총 3만명의 군대를 이끌고 몰타로 진격합니다.


이미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 경험이 있던 라발렛은 성벽 보완, 민가 철거 등 완벽한 대비를 하고 있었으며


몰타가 함락된다면 유럽 전체가 위험한 상황임을 알고 있던 유럽의 각 국가들은 지원병을 보내기 시작합니다.



오스만 제국의 몰타섬 포위 공격은 성 엘모에서 시작되며, 이것은 전쟁에서 패하는 큰 원인이 됩니다.


오스만은 몰타섬의 주요 요새인 성 안젤로와 성 미카엘을 놔두고 외곽 요새인 성 엘모를 우선 공격했으며


이곳에서 시간을 허비하는 동안에 유럽 지원군이 몰타로 도착하게 됩니다.


또한 오스만의 명장 투르구트가 뒤늦게 도착하여 지원에 나섰지만 성 엘모에서 전사하게 됩니다.



오스만은 성 엘모를 힘겹게 점령하고 본 요새인 성 미카엘로 돌진했지만,


스페인 구원군의 도착과 몰타 기사단의 활약으로 오스만군은 거의 전멸하게 됩니다.



몰타 점령에 실패한 오스만 제국은 퇴각할 수 밖에 없었으며 지중해 패권이 약화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스만 제국의 매머드 2세는 청동 대포로 콘스탄티노플을 위협합니다.



제국의 영광을 뒤로한 채 도시 국가로 전락한 비잔틴 제국이지만,


콘스탄티노플은 천 년 동안 무너지지 않은 테오도시우스 성벽과 황금뿔 만의 철쇠가 있었습니다.


매머드 2세는 수륙 양동 작전을 세우고 콘스탄티노플로 진격합니다.


▶ 매머드 2세 확인하기

▶ 비잔틴 제국 확인하기



콘스탄티노플 공격, 육상전의 실패



출처 : wikipedia



천혜의 요새이자 천 년 동안 비잔틴 제국을 굳건히 지키는 테오도시우스 성벽에 다다른 매머드 2세는


리쿠스 강 중앙 지점의 지형이 가장 낮은 곳에 대포와 병력을 집중적으로 배치합니다.


리쿠스 강에 최정예 부대 예니체리까지 배치되지만 섣부른 공격을 할 수 없어 견제 공격만 지속됩니다.



로마누스 군문을 집중적으로 공격한 오스만 군은 성의 외벽을 완전히 무너뜨리고 성으로 진격합니다.


하지만 테오도시우스의 해자와 제한된 공격 지점으로 인해 오스만 군은 파상공세가 불가능했으며,


콘스탄티노플의 용병들의 활약에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됩니다.



제노바 용병을 비롯한 유럽의 용병들은 당시 강철검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군대는 유럽의 특수강의 위력에 칼이 손상되며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됩니다.


약 4시간의 전투 후 비잔티움 제국의 전사자는 없었으며 오스만 제국은 200명의 전사자를 냅니다.


50일 동안의 치열한 전투를 벌이지만 콘스탄티노플은 함락되지 않습니다.





콘스탄티노플 공격, 해상전의 실패



출처 : wikipedia



황금뿔 만의 철쇠는 오스만 제국 해군의 공격 역시 허용하지 않습니다.


매머드 2세는 황금뿔 만의 철쇠를 뚫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페라 지구 뒤쪽으로 배를 들어 옮기는 전술을 실행합니다. 


도르래를 사용하여 페라 지구 안쪽으로 배를 들어 황금뿔 만 안으로 옮깁니다.


비록 오스만 제국은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뚫지 못하지만 페라 지구와 콘스탄티노플을 단절시키게 됩니다.


고립된 콘스탄티노플은 더 이상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고 서서히 패색이 짙어지게 됩니다.



비잔티움의 최후



오스만 제국의 끝없는 공격은 비잔틴 제국을 벼랑끝으로 몰아붙입니다.


식량이 고갈되고 병사들은 굶주렸으며 지원군이 더 이상 콘스탄티노플로 오지 않게 됩니다.



매머드 2세는 최후의 전투를 준비합니다.


매머드 2세는 약탈 전문 부대인 아잡스를 선봉에 세웁니다.


1차 선봉 부대가 막히자 정규군 부대인 2차 부대를 곧바로 전투에 투입시킵니다.


하지만 2차 부대마저 수비에 막히게 되고 3차 부대인 예니체리마저 공격에 실패하게 됩니다.


그러나 성 안으로 연결되는 작은 쪽문을 발견한 오스만 군대가 성안으로 진입하게 되고,


성안으로 들어간 오스만 군은 가장 높은 성벽에 오스만 깃발을 꽂게 됩니다.


오스만의 깃발을 본 비잔티움 군대는 순식간에 무너지게 됩니다.



천년의 제국 비잔티움이 떠오르는 신흥 강자 오스만 제국에게 멸망당하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스만 제국의 성장은 비잔티움에게 큰 위기로 다가옵니다.



또한 약 200년간 지속된 십자군 전쟁은 비잔티움을 흔들리게 만듭니다.


4차 십자군과 베네치아군의 콘스탄티노플 점령 후 라틴 왕국을 세웁니다.


약 60년간 지속된 라틴 왕국 시기에 비잔티움은 재기 불능의 상태로 빠지게 됩니다.


베네치아군을 몰아내기 위해 제노바군을 끌어들여 어느 정도 나라는 회복했지만


제노바군에게 막대한 재정을 쏟아부어야 했던 콘스탄티노플은 도시 국가로 전락합니다.


▶ 비잔티움 제국의 시작 확인하기

▶ 4차 십자군 확인하기



매머드 2세의 등장



출처 : wikipedia



매머드 2세는 메흐메트 2세로 오스만 제국의 7대 술탄입니다.


1444년 12세의 나이에 오스만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지만 1446년 퇴위됩니다.


재상 할릴 파샤의 엄격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메머드 2세는 1451년 다시 오스만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게 됩니다.


어린 시절 철없는 행동과 난폭한 행동을 하며 재상들을 위협하던 매머드 2세는


할릴 파샤의 가르침으로 관용의 군주로 다시 태어났으며 타 문화에 개방적인 자세를 취합니다.





메머드 2세의 비잔티움 정복 시작과 청동 대포



오스만 제국의 황제가 된 매머드 2세는 콘스탄티노플 정복을 위한 계획을 준비합니다.


매머드 2세는 우선 유럽쪽의 해안에 성벽을 축조하기 시작합니다.


해안의 양쪽에 성벽을 쌓아 해협의 통행권을 완전히 장악하며 콘스탄티노플을 고립시킵니다.


신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매머드 2세는 콘스탄티노플 공격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10만의 대군과 전투함을 이끌고 수륙 양동 작전을 실행합니다.



오스만 제국은 천년의 요새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키기 위해 이전과는 다른 청동 대포를 준비합니다.


특히 오스만 제국의 우르반 대포는 포탄의 무게만 약 400kg - 600kg에 달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우르반 대포를 루멜리 히사리에 배치하고 콘스탄티노플을 드나드는 함선에 포격을 가합니다.


며칠이 지나지 않아 우르반 대포는 배를 격침시키게 되고 오스만군은 선장을 꼬챙이에 꿰어 죽이게 됩니다.


콘스탄티노플은 말 그대로 공포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예니체리



출처 : wikipedia



예니체리는 오스만 제국의 최정예 부대로 14세기에 처음 조직된 황제의 친위대였습니다.


초기에는 전쟁 포로들이나 기독교 소년들로 강제 징집한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들은 이슬람교로 개종을 한 뒤 정식 부대로 편성이 되었으며 알라와 황제에게만 충성하도록 교육되어집니다.



예니체리는 봉건 기사 부대 사파히, 민병 농민 부대 파야데, 약탈 전문 부대 아잡스의 세 개의 부대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체계화 된 군대 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며 예니체리는 약 1만 2천명 정도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각종 전투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루어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막강한 권력을 갖게 된 예니체리는 점차 타락하게 되며 19세기에 이르러 해체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