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천상륙작전의 성공과 서울 탈환은 6.25 전쟁의 판도를 뒤바꿉니다.



인천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북한군은 낙동강 전선에서 후퇴하게 되고,


낙동강 방어선을 치열하게 지키고 있던 우리 국군과 유엔군은 반격에 성공하며 추격을 합니다.


보급로가 끊키고 병사들의 사기가 떨어진 북한군은 무기도 버리고 도망칠 정도로 정신이 없었습니다.


▶ 6.25 전쟁의 시작 확인하기

▶ 인천상륙작전 확인하기

▶ 낙동강 방어선 전투 확인하기





우리 국군의 반격, 북진 개시



출처 : wikipedia



1950년 10월 1일 육군 제 3사단은 38선을 돌파하여 북진을 개시합니다.


낙동강 방어선 전투 당시 포항 일대를 지키고 있었던 육군 제 3사단은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 양양 38선까지 진격하여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부대가 됩니다.


이 날을 기념하고 북진 통일의 진취적 기상을 잊지 말자는 의미로 10월 1일 국군의 날이 제정됩니다.



평양 탈환과 북진, 중공군의 개입



출처 : wikimedia



1950년 10월 19일 국군 제1사단은 평양에 최초로 입성하게 됩니다.


유엔군과 함께 국군은 패주하는 북한군 잔당을 소탕하는 시가전에 돌입하게 됩니다.


10월 30일 평양 입성 환영식이 열리게 되고 태극기로 평양 시내는 뒤덮이게 됩니다.



평양 탈환에 성공한 국군과 유엔군은 순식간에 압록강까지 밀고 올라가며 통일 직전까지 밀어 붙이게 됩니다.


하지만 중공군의 개입으로, 인해전술에 밀린 국군과 유엔군은 평양을 다시 내어주며 후퇴를 하게 됩니다.



김일성 피신



김일성은 대유동, 창성, 만포, 강계 등을 거쳐 고산진으로 피신하게 됩니다.


중국 국경 지대인 고산진은 압록강 근처의 북한 자강도에 속하는 최장의 은신처였습니다.


유엔군이 이곳을 공중 폭격하려면 중국 영공을 침범할 수 밖에 없는 위치였습니다.

 


제한 전쟁과 휴전



출처 : good free photos



 1951년 6월 23일

 소련의 유엔 대사의 한국 전쟁 정전 제의

 1951년 7월 8일

 정전 예비 회담이 개성에서 개최 

 1951년 10월 25일 회담 판문점 개최
 1951년 11월 28일 당시 전선을 임시 휴전선으로 채택
 1953년 4월 6일 휴전 회담 재개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조인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휴전 협정이 조인됨으로 3년 1개월 만에 한국 전쟁은 휴전으로 매듭이 지어집니다.



1951년 11월 28일 당시의 전선이 휴전선으로 채택되면서 제한 전쟁은 잠시 소강 상태에 들어갔지만,


이내 고정된 전선에서의 근거리 전투와 고지 쟁탈전은 더욱 치열해집니다.



휴전이 되면 각기 점령 지역에서 국경이 정해지는 조건으로 싸우는 전쟁을 제한 전쟁이라고 하며,


단 한 치의 땅도 더 차지하기 위해, 양보할 수 없기에 물러섬 없는 소모전이 지속됩니다.


1952년 8월에 벌어진 수도고지에서는 6일만에 7번 고지의 주인이 바뀌었으며,


백마고지는 1개월 사이에 25번, 수도고지와 백마고지 사이의 저격 능선은 4일간 17번의 주인이 바뀌게 됩니다.



휴전 협정은 현재까지 효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