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적의 난은 후한 말기에 황건적이 일으킨 반란입니다.
184년 후한 말기, 종교 집단인 태평도의 교주 장각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봉기가 일어납니다.
후한 말기의 백성들은 환관과 외척의 전횡으로 인해 고통의 삶을 이어나갑니다.
장각은 태평도를 창시하고 스스로 대현양사라고 호를 지어 황천의 신의 사자라 일컫습니다.
황건적의 봉기
출처 : wikipedia
장각은 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치료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포교를 시작합니다.
병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주술을 사용했으며 부적이나 부적을 태운 물 등을 사용했습니다.
고통받고 있던 백성들에게 미신적인 민간 신앙은 안식처가 되었으며,
참위설과 음양오행설 등을 가미한 태평도의 교리와 행동은 단기간에 민중의 마음을 사로잡게 됩니다.
장각의 제자들은 전역으로 포교활동을 나서게 되고 수 십 만의 신도를 거느린 교단으로 성장합니다.
장각은 천공장군이라는 호를 지어 황건적 최고의 자리에 앉고,
동생 장보와 장량 역시 각각 지공장군과 인공장군으로 황건적을 지휘하게 됩니다.
일반 농민, 백성들은 점차 군사 조직의 성격을 띄게 됩니다.
후한 말기, 환관과 외척들의 전횡에 고통받던 백성들의 고통을 던다는 명분으로 봉기를 일으켰지만,
장각은 스스로 천자가 될 야망을 드러내며 역성혁명을 꿈꾸게 됩니다.
황건적의 난
출처 : wikipedia
후한의 전국 13도에서 봉기가 일어납니다.
후한의 황제 영제는 외척이었던 장군 하진을 대장군에 임명하고 황건적 토벌을 명합니다.
후한은 진압군을 편성하게 되고 주준, 황보숭, 노식을 전투 부대로 편성합니다.
기도위에 임명된 조조 또한 황건적 토벌에 나서게 되고,
1,500명의 군사를 이끈 강동의 손견과 500명의 군사를 이끈 유주의 유비 역시 황건적 토벌에 나서게 됩니다.
184년 유주성 전투 |
184년 청주성 전투 |
||||
군대 | 토벌군 | 황건적 |
군대 | 토벌군 | 황건적 |
장수 | 유언, 유비 | 정원지, 등무 |
장수 | 유언, 유비, 공경 | 황건적 |
병력 | 500명 | 50,000명 |
병력 | 11,000명 | 불확실 |
결과 | 정원지와 등무가 관우와 장비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고 토벌군의 황건적 격퇴 |
결과 | 황건적을 포위 섬멸한 토벌군의 승리 |
||
184년 영천 전투 | 184년 곡양 전투 | ||||
군대 | 토벌군 | 황건적 | 군대 | 토벌군 | 황건적 |
장수 | 황보숭, 조조, 왕윤 | 장량, 장보, 파재 | 장수 | 황보숭, 조조, 곽전 | 장량 |
병력 | 불확실 | 불확실 | 병력 | 불확실 | 불확실 |
결과 | 황건적의 1만명 전사와 토벌군의 예주 평정 | 결과 | 장각의 병사로 동생 장량이 황건적을 | ||
184년 양성 전투 | 184년 완성 전투 | ||||
군대 | 토벌군 | 황건적 | 군대 | 토벌군 | 황건적 |
장수 | 유비, 주준 | 장보, 고승, 엄정 | 장수 | 손견, 주준, 유비 | 손중, 조홍, 한충 |
병력 | 500명 | 90,000명 | 병력 | 5,000명 | 90,000명 |
결과 | 황건적 내부 분열로 | 결과 | 황건군 괴멸과 남양군 평정 |
황건적의 난 결과
완전히 소멸되지 않은 황건적은 188년 다시 중국 전역을 혼란으로 몰아넣습니다.
194년 황건적의 관해가 북해를 습격하기도 했지만 조조와 유비, 태사자에 의해 진압되며 황건적은 자취를 감추게 됩니다.
황건적의 난은 중국 각지의 군웅들이 할거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었으며 삼국지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입니다.
'알맛 나는 지구 >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 동탁 토벌전, 반동탁 연합군의 결성과 해체, 동탁의 최후 (0) | 2020.04.10 |
---|---|
삼국지, 정사 삼국지와 삼국지연의 그리고 십상시의 난과 동탁의 등장 (0) | 2020.04.10 |
1차 흉노전쟁과 2차 흉노전쟁, 흉노의 멸망과 영향력 (0) | 2020.04.07 |
흉노, 한 고조 유방의 흉노 정벌 실패, 중국 4대 미녀 왕소군 (0) | 2020.04.07 |
흉노, 흉노의 어원과 묵돌선우의 등장 (0) | 2020.04.07 |